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wanna be Blogger11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4: 이미지 최적화하기 블로그에서 이미지는 양날의 검 같다. 인간에게는 꼭 필요하지만, 검색로봇에게는 꽤 까다로운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자극적인 시각 매체에 중독되어 있는 우리에게 텍스트만 빼곡한 글을 읽는 건(특히 인터넷상의 글이라면 더욱)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검색로봇은 이미지가 담고 있는 콘텐츠를 파악하지 못할뿐더러 이미지가 많이 첨부된 글을 선호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서는 이 까다로운 이미지를 최적화해야 한다. 오늘은 이미지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적절한 이미지 사용하기 앞서 얘기했듯이, 사람과 달리 검색로봇은 이미지로 제작된 내용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중요한 내용은 가급적 HTML 형식의 텍스트로 표현해주어야 검색 노출에 유리하다. 하지만 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하는 건 사용자.. 2023. 5. 9.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3: 메타 디스크립션 사용하기 지난 글에서 검색 상위 노출을 위해 h태그를 사용하여 글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2: h태그 사용하기 블로그에 정성 들여 쓴 글이 잘 검색되고 상위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려면, 검색엔진에 최적화된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글에서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글쓰기 방법 10가지를 leschosesquejaime.tistory.com h태그와 함께 메타 디스크립션 역시 검색로봇에게 글의 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에는 메타 디스크립션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내 블로그의 글이 상위 노출될 수 있도록 해보자. 메타 디스크립션이란 무엇인가? 메타 디스크립션은 검색로봇이 검색 결과의 스니펫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2023. 5. 6.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2: h태그 사용하기 블로그에 정성 들여 쓴 글이 잘 검색되고 상위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려면, 검색엔진에 최적화된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 글에서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한 글쓰기 방법 10가지를 알아보았다.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1: 핵심 요소 10가지 블로그에 글을 쓴다는 것은 일기장에 글을 쓰는 것과는 다르다. 물론 그렇게 블로그를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나의 게시물 일부도 그렇다), 일반적으로 블로그의 글은 '검색'되고 상위 leschosesquejaime.tistory.com 오늘은 그중 필수 중의 필수라고 할 수 있는 'h태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h태그란 무엇인가? h태그의 h는 heading의 약자로, HTML에서 본문 중간중간 소제목을 작성할 .. 2023. 5. 6.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블로그 글쓰기 #1: 핵심 요소 10가지 블로그에 글을 쓴다는 것은 일기장에 글을 쓰는 것과는 다르다. 물론 그렇게 블로그를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나의 게시물 일부도 그렇다), 일반적으로 블로그의 글은 '검색'되고 상위에 '노출'되어 많은 사람들이 읽어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글쓰기와는 다른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검색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작업이라고 한다. 우리가 검색 사이트에 검색을 하면 검색엔진이 입력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수집되어 있는 정보들을 검색 결과에 반영해 준다. 이때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은 사용자를 파악하여 정보에 순위를 매기고 더 적절한 정보를 우선적으로 띄워주는데, 이 알고리즘은 검색엔진마다 다르다. 구글과 네이버의 SEO를 예를 들어보자. 구글 SEO:.. 2023. 5. 5.
티스토리 블로그 튜토리얼 #7: 줌(Zum)에 사이트 등록하기 지난 튜토리얼에서는 빙(Bing)에 블로그 주소를 등록해 보았다. 지금까지 등록을 잘 마쳤다면, (다음은 물론이고) 구글과 네이버, 빙에서 내 블로그의 글들이 검색될 것이다. 티스토리 블로그 튜토리얼 #6: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 등록하기 검색 유입을 늘리기 위해 검색 엔진에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다. 지난 튜토리얼을 통해 네이버에 등록을 완료하였다. 오늘은 빙(Bing)에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 leschosesquejaime.tistory.com 오늘은 마지막으로 줌(Zum)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빙과 마찬가지로 구글과 네이버, 다음 등 주요 검색 사이트에 비하면 사용자가 많지는 않지만, 등록해 두면 검색 유입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다. 1.. 2023. 4. 29.
티스토리 블로그 튜토리얼 #6: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사이트 등록하기 검색 유입을 늘리기 위해 검색엔진에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다. 지난 튜토리얼을 통해 네이버에 등록을 완료하였다. 티스토리 블로그 튜토리얼 #5: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사이트 등록하기 블로그를 만들었으면 주소를 검색 엔진에 등록해주어야 한다. 지난 튜토리얼에서는 구글에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오늘은 네이버에 주소를 등록해 볼 것이다. 티스토리 블로그 튜토리얼 leschosesquejaime.tistory.com 오늘은 빙(Bing)에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볼 것이다. 구글과 네이버보다 이용률이 현저하게 낮긴 하지만, 일단 등록해 두면 빙에서도 내 블로그의 소중한 게시글들이 검색될 것이다. 1. 빙(Bing)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 티스토리 블로그용으로 만들.. 2023. 4. 29.
반응형